침묵을 깬 함성,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
4월 19일. 해마다 이 날이 돌아오면, 거리의 벚꽃은 지고 신록이 움트지만, 우리 역사에는 잊지 말아야 할 한 사건이 또렷이 떠오릅니다.
1960년 4월, 학생들과 시민들이 불의에 맞서 일어난 '4.19 혁명'은 한국 민주주의 역사에 결정적인 전환점을 만든 민중의 외침이었습니다.
독재와 부정선거, 폭력으로 짓눌렸던 자유를 되찾기 위해 거리로 나온 젊은이들의 발걸음은, 단순한 시위가 아니라 시대를 움직인 ‘정의의 울림’이었습니다.
그날의 외침은 목숨을 건 선택이었고, 침묵을 거부한 용기였습니다.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이 있지만, 역사는 우리가 기억할 때 반복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기억은 단지 과거의 슬픔을 떠올리는 일이 아니라, 오늘의 행동을 바꾸는 첫걸음입니다.
침묵을 깨는 건 지금의 몫
오늘날 우리는 4.19 혁명처럼 거리로 나서야 할 만큼 절박한 시대를 살고 있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두가 안전하고 정의로운 사회에 살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가짜 뉴스가 판치고, 소수의 목소리가 외면당하며, 약자에 대한 배려 없이 흘러가는 세상을 보면,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우리는 일상에서 침묵하지 않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부당한 일에 눈감지 않기, 권력의 잘못된 행보에 침묵하지 않기,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 작은 행동이 모일 때, 큰 변화가 시작됩니다.
기념일은 끝이 아닌 시작
4.19는 단지 기념비 앞에 헌화를 하고, 묵념하는 날이 아닙니다.
그 날을 기억한다는 건 불의에 대한 분노를 잊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정의를 위해 행동하겠다는 다짐을 되새기는 것입니다.
그날 거리에서 쓰러졌던 젊은이들의 외침이 있었기에, 지금 우리가 투표할 수 있고, 자유롭게 의견을 나눌 수 있으며, 법과 제도가 조금씩이라도 진보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그날의 희생을 헛되이 하지 않기 위해선, 오늘을 사는 우리가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작은 실천’을 이어가야 합니다.
4.19는 살아있는 유산
민주주의는 한 번 이뤄졌다고 끝나는 게 아닙니다. 항상 누군가가 기억하고, 지켜야 하는 살아있는 유산입니다. 4.19는 그런 의미에서 우리에게 "민주주의는 매일 새로 지켜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해줍니다.
우리가 매일 조금씩 더 깨어있을 때, 역사는 반복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첫걸음은, 오늘 이 날을 단지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현재의 과제’로 바라보는 것에서 시작됩니다.